전체 글 44

[한국근대사상] 한국 성리학의 특징, 근대사상의 시대적 배경

한국 성리학의 특징 ① 정주학(程朱學 중심.조선시대 성리학은 정이천(程伊川)과 주자가 중심이 된 학문.도덕 형이상학적. ② 주지주의(主知主義)적 경향. 어떤 틀에서 떠나면 안됨.↔ 양명학은 주정(主情)적 성격 ③ 예(禮)를 중시하는 풍토. ④ 명분론적인 사고 ⑤ 인존(人尊) 정신 ⑥ 보수적 특성. 경험적 사상을 소홀히 하였음. 근대화 여명기의 상황 ① 학문적 변화: 성리학에 대한 비판과 성토가 이어짐.(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위기 대처 능력이 없음.주자학을 비판하면 사문난적으로 몰림."어떻게 하면 공자의 가르침을 얻을 수 있을까?" "주자의 풀이는 과연 맞을까?"서인정권 하에서 주자사상이 극대화됨. 남인계통 학자들은 주자 비판.성호학파: 근기(近畿)지역에 성호학파 학자들 많음. 이들은 주자학을 ..

한국사 2018.02.02

수능 영어영역 빈출 어휘 영단어

render;~이 되게 하다 decade;10년 crude;가공되지 않은 furniture;가구 impoverish;가난하게하다 slender;가느다란 confine;가두다 subside;가라앉다 perspective;가망 drought;가뭄 hypothesis;가설 pretend;가장하다 assume;가정하다 folk;가족 value;가치 worth;가치 harsh;가혹한 concise;간결한 brief;간결한 interfere;간섭하다 entreat;간청하다 pierce;간파하다 plow;갈다 conflict;갈등 gratitude;감사 appreciate;감상하다 decrease;감소 diminish;감소하다 emotion;감정 admiration;감탄 abrupt;갑작스러운 potent;강력한 i..

언어 2017.12.16

TOEIC LC 빈출 표현, 어휘

accommodate only private planes;개인 비행기만 수용하다 address the audience;청중에게 연설하다 adjust a wire;전선을 조절하다 adjust the camera lens;카메라 렌즈를 조정하다 adjust the controls on the microphone;마이크를 조절하다 adjust the microscope;현미경을 조절하다 adjust the mirror;거울을 조정하다 adjust the sound system;음향기기를 조정하다 admire a paint of landscape;풍경화를 감상하다 admire the trees;숲을 감상하다 answer the call[telephone/phone];전화를 받다 applaud the orches..

언어 2017.12.16

마르셀 뒤샹 <샘>과 예술 형식론의 약점

형식론은 미술 양식상의 전환기였던 20세기 추상미술의 등장을 그 배경으로 함.그림의 형식적 구상을 강조하는 추상미술을 설명하는 새로운 논의가 필요했음. 형식론자들은 예술형식의 순수성을 강조함으로써, 예술을 일상생활과는 구분되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영역에 위치시키려 함. 대표적인 형식론자: 클라이브 벨, 로저 프라이이들은 예술과 일상생활을 구분지으면서 자율적인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예술형식이 제공하는 독특한 경험의 성격과 가치를 밝혀 놓음.벨: "그것은 미적 정서이자, 미적 정서를 불러 일으키는 의미있는 형식"프라이: "미적 가치란 일상적인 정서와는 다른 것이며, 선, 색, 양감, 공간, 명암 등의 배열이 이루어 낸 구성적 질서에 의해 환기되는 삶의 정서" 그러나 다다 류의 예술작품이 등장하면서..

헤겔에게 미적 의식이 도덕적 의식보다 상위의 것인 이유

헤겔에 따르면 인간 사유의 본성은 스스로를 객관화하여 자의식에 도달하는 것. 두 가지 방법이 있음. -. 이론적 방법: 내면성의 개념화로서의 철학. -. 실천적 방법: 외적으로 현존하는 대상 속에 자신의 내면을 투사함. 그 속에서 객관화된 자기 인식. 칸트는 『실천이성비판』에서 "너의 준칙이 항상 보편적인 입법 원리로서 타당할 수 있도록 그렇게 행위하라"는 정언 명법을 확립. ↔ 헤겔 / 오성이 당위라는 자신의 한계에 부딪히는 곳에서 철학의 참된 과제가 나타남. 이 과제의 해결로서의 진리만이 도덕의 본래 목적인 자유로운 정신 실현. 그러나 칸트는 당위의 수준에 머물러 버림. 헤겔에게 도덕이란 인간의 외적인 속박이 스스로에게 부과하는 의지의 법칙이자 의무. 그러나 도덕은 한편으로는 의지와 다른 한편으로는 ..

칸트 미학에서 반성적 판단력과 미적 판단력의 관계

칸트 철학에서 판단: "S는 P다" -. 사실판단: 객관적 진리를 요구 -. 미적판단: 주관적 보편성에 의한 진리 요구 칸트는 감성과 이성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인간의 이성을, -. 감성에 연루된 이성(오성) -. 감성을 초월하는 이성(이성) 으로 구분함 -. 오성: 감성을 통해 자연과 관계하며 또한 자연을 과학적으로 개념화 하는 방법 -. 이성: 인간 존재의 이념을 궁극적 자유로서 파악하는 능력 → 자연개념과 자유개념을 구분함 반성적 판단력: 자연개념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로 하여금 자유를 표상하게 하는 능력. 미적 판단력은 그 대표적 전형. → 자연 일반에 대한 자유개념의 실현가능성 제시의 필요성. 이럴 때 이성과 오성의 분리도 그 본연의 의미가 밝혀짐. 따라서 미적..

아도르노 대중음악론 vs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아도르노와 벤야민은 학문적 동지였지만, 기술복제시대의 대중문화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된 입장을 보였음. 벤야민은 1936년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이라는 에세이를 발표했는데, 아도르노는 이에 대해 반론을 제기함. 벤야민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서 자신의 입장을 제시했다면, 아도르노는 음악을 통해 이를 비판하였음. 1.1 아우라의 붕괴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은 아우라의 상실을 초래함. '아우라'는 어떤 대상이 지니고 있는 독특하고 유일한 신비스런 분위기이자, 주체가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얻는 특별한 주관과 경험. 은 이 세상에 단 하나만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거기서 아우라를 경험할 수 있었음(복제품에서는 느낄 수 없음). 그러나 기술복제시대에는 원본-복제본 구분 자체가 무의미. 벤야민은 아우라의..

한슬리크의 형식주의 음악이론

한슬리크의 음악미학의 핵심은 '음악적 아름다움'이라는 말로 압축됨. 한슬리크는 음악적 아름다움의 독자성은 여타의 음악 외적 요소들, 즉 정치나 종교나 타 예술이 아니라, "음악 특유의 것들", "음들 간의 예술적 결합"에 존재한다고 봄. 한슬리크는 『음악적 아름다움에 관하여』에서 음악미의 본성이 아닌 것과 본성인 것을 강력히 대비시킴. ***음악이 아닌 것*** -. 음악미의 본성을 감정으로 보았던 당대의 감정미학자들을 강력히 비판함. 그들의 태도는 "취함으로써 와인의 진정한 본성"을 확인하려는 것과 같음. -. 감정은 단지 음악의 2차적 효과에 불과함. 음악은 추상적으로 대상을 재현하거나 묘사하기에 지나치게 특수하고 구체적. 음악은 감정 일반의 운동적 성질을 재현할 수 있지만, 감정 자체는 재현 불가...

예술의 자율성 개념, 유미주의에 대한 비판

예술의 자율성: 예술을 정신적 가치로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활동으로 이해함. 진, 선, 실용성 등과는 구분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미학이념. 예술의 자율성 이념은 교회권력이 약화되고 봉건귀족체제가 붕괴하면서 성립됨. 예술가들은 혁명 이후 교회나 제후 등 기존의 후원 체계에서 벗어났지만, 시장논리에 종속되어 버림. 예술가들의 창작물들을 구매할 만한 여력이 있는 사람들은 부르주아지. 그러나 부르주아들의 예술적 식견은 봉건 제후나 귀족들보다 한참 부족함. 예술가들은 부르주아들을 비판하면서 예술을 고상한 정신적 가치로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활동으로 간주함. "예술은 진리와 도덕을 추구하는 활동도 아니고, 일상적이고 실용적인 물품을 만들어 내는 기술도 아니다" - 19세기 말, 예술의 자율성을 극단적으로 신봉하는..

칸트 <판단력 비판>이 지니는 철학 체계적 의의

칸트의 철학체계는 자연과 자유의 이분법에서 출발함. -. 자연: 인과관계의 법칙성에 따라 움직이는 현상계의 사물에 대한 총괄 개념 (사물들은 감성에 의해 감지할 수 있으며, 오성을 통해 인식가능) -. 자유: 자유의 세계는 물자체의 법칙에서 자유로움. 현상계에 자신을 감각적으로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물자체의 세계는 경험의 대상이 될 수 없음. 다만 인간존재의 궁극적 이념을 자유로서 파악하는 능력인 이성을 통해 사유는 가능. 자연개념과 자유개념은 상이한 원리를 갖는 것으로서 피차 명확히 구분됨. 자연개념과 자유개념이, 오성과 이성이 철저히 분리되면 자유는 자신의 실현을 위한 실제적 토대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공허하고 추상적 이념에 그침. 그렇다면 이성과 오성의 이율배반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자연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