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9

[한국근대사상] 조선 후기, 구한말 개신교의 전래, 수용

19세기 후반, 개신교가 조선에 본격적으로 전래, 수용됨.주로 상인들이 개신교를 받아들임. 이들 상인들은 비교적 생활수준이 높았음.그리고 자작농, 소작농 등 경제력 있는 농민층도 개신교 신자가 되었음.청교도적인 윤리관이 이들에게 어필하였음. 이수정(李樹廷, 1842~1886)이 박영효를 따라 일본에 가서 성서를 번역함.이수정은 1884년 미국 잡지에 조선에 선교사를 보내달라는 기사를 썼음.(1886년 개화파를 견제했던 집권세력에 의해 처형당함) 그래도 개신교는 천주교에 비해서 순탄하게 들어왔음.천주교는 전통적 사상(주자학)과 대립하면서 근대화의 길을 닦아 왔다면,개신교는 문호 개방 이후에 개화사상을 이끌어 왔음. 조선에 파견되었던 개신교 선교사들은 대체로 뉴잉글랜드 출신.이들은 개화 운동, 교육 및 의료..

한국사 2018.10.24

[한국근대사상] 실학자와 아놀드 토인비의 '창조적 소수자'

아놀드 토인비는 『역사의 연구』에서 창조적 소수자(creativity minority)를 언급하였음. 역사선상에서 창조적 소수자들은 도전자, 응전자로서의 기능을 함. 하지만 창조적 소수자들은 쇠퇴기에 지배적 소수자로 전락해 버림. 토인비에 따르면 문명의 발전이 요구하는 전환기의 시대적 상황이 문명을 이끌어 가는 창조적 소수자들을 요구 창조적 소수자를 한국사에도 적용하자면? 6두품, 신흥사대부, 실학자들이 이에 해당됨. 이들은 각기 추구하는 목적과 방식이 다름. 그러나 기존 시대의 모순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사회의 방향을 이끌어 감. ㄱ. 6두품 : 신분적 제약 때문에 관직 등용에 제한을 받음. 이들은 대부분 학자집단이며, 유교정치 실현을 주장함. 능력에 따른 인재 선발을 주장했는데, 고려시..

한국사 2018.10.15

[한국근대사상] 실학의 의미와 한계, 성호학파

시대에 따라 다양한 실학이 있지만 17~18세기의 실학에 한정되어 논의됨.전공에 따라 실학에 대한 입장이 다양함. 조선 전기의 권근 曰 "경전을 깊이 공부해서 실학을 하는 선비를 얻어야 합니다"세종 시대 황희 曰 "허명에만 힘쓰고 실학에 힘쓰지 않습니다"세조 曰 "실학에 힘써야 한다" 율곡 이이 曰 "三代(중국 고대 하, 은, 주) 때가 살기좋은 시대이며, 삼대를 목표로 삼아 실학에 힘써야 한다" → 어느 시대든지 '실학'으로 불릴만할 학문이 있다. 실학의 대표적 학파인 성호학파는 개방적 학문 전통이 특징. 그런데 그 때문에 학파 구성원 서로간에 논쟁이 잦았음.(서학에 대한 입장의 차이: 한쪽에서는 천주교를 믿다가 사형을 당하고 다른 한쪽은 서학을 배척함)성호학파의 온건 계열은 20세기까지 이어짐(→벽위..

한국사 2018.04.04

[한국근대사상] 실학 등장의 사회적 배경

조선 후기 부상과 부농이 등장함. 농업 이외에 새로운 직업이 형성됨.주자학에 대해 비판했던 실학자들은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을 연구함. 실학의 유파의 변천: 경세치용(經世致用)_18세기 초반 (성호학파)이용후생(利用厚生)_18세기 후반 (북학파)실사구시(實事求是)_19세기 초반 경세치용의 학자들:『반계수록』을 저술한 유형원,유형원의 학풍을 이은 성호 이익(경기도 안산 사람) 성호 이익은 남인 계통. 벼슬길이 막힘.율곡 이이의 사상을 받아들임.한전론(가호의 토지 면적을 제한하되 제한된 영업전 외의 농토는 무제한 매매를 허용하자)을 주장함. 토지 개혁을 통해 농민들의 생계를 보장하자! 북학파 학자들은 상공업과 기술혁신을 강조함(박지원 등).-. 소상인들의 권익을 보장. 육의전(서울), 송상(개성) 등..

한국사 2018.04.04

[한국근대사상] 실학 등장의 정치적 배경

근기(近畿)지역(서울을 둘러싼 지역)에서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셌음.잔반(특히 남인)들의 불만이 특히 거셌음. 선비들은 修己한 다음 과거시험을 치르고 治人함.그러나 과거시험 자체를 문제삼음. 실학자들은 대부분 양반이었음.근대에 이르러 양반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생존경쟁이 치열해짐.양반들을 붕당을 형성하고 당파싸움을 벌임.당파싸움에서 실패하면 정치적, 경제적 기반을 잃게 됨.정권에서 소외된 계층 중 양심적인 사람들이 부정부패 타파와 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주장함. 정치권에서 소외된 양반들은 영남이나 호남 출신일 경우 고향으로 돌아감.그러나 수도권 출신을 그럴 수 없음 → 빈익빈 부익부근기지역의 양반들은 경제적 자립도가 낮음. 기존 사회에 대한 저항감 고조됨.

한국사 2018.04.04

[한국근대사상] 실학 등장의 시대적 배경

실학 등장의 시대적 배경 1) 농촌 문제 양난(임진왜란, 병자호란) 이후 농민들의 삶이 참담해짐.당대 지식인들은 이에 대해 심각하게 반성함. 새로운 개혁을 요구함. 양난 이후 국가 재정이 고갈됨. 농민들이 어려워지면서 세금이 걷히지 않음.지식인들은 주자학을 비판하고 반성함. 현실 개혁을 위한 제안들을 내놓음. 경세치용(經世致用)을 강조함. 일상 생활의 문제에 관심을 쏟아야 함을 강조.유형원, 이익, 정약용 등 2) 상공업 중심의 보국 안민을 주장함(주로 북학파)박지원, 홍대용 등 청나라와 조선을 왕래했던 학자들이 이용후생(利用厚生)을 강조. 3) 자주 의식의 확대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탈피하고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보임. 4) 서구 문물에 대한 관심. 세계관이 확대됨.북경에 파견된 유럽인들이 쓴 책이 한문..

한국사 2018.04.04

[한국근대사상] 실학이란 무엇인가?

實學을 정의하기?실(實)이 무엇인가? 허(許)와 대립됨.실학은 특정 학문이 아니라 實한 학문을 통칭함. 실학은 근대에 나타난 것이 아님. 고려시대에도 있었음.고려시대 초기에는 성리학이 실학이었고, 조선 초기에는 경학을 실학이라고 불렀음.조선시대 유학자들은 "공맹(孔孟)의 가르침을 익혀 충실히 실행하는 것"을 실학으로 간주했음.유학자들은 불교와 도교를 현세의 학문이 아니며 虛한 것이라 주장함. 당대인이라도 신분, 직책, 학문성에 따라 실학의 의미가 다름.피지배계층의 실학과 지배계층의 실학.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실학은 17~18세기의 실학.17~18세기 실학의 성격: 경세치용經世致用 / 이용후생利用厚生 / 실사구시實事求是)양난 이후 성리학의 한계를 의식하고 역동적인 사회로 나가기 위한 새로운 학문이 등장함...

한국사 2018.04.04

[한국근대사상] 성리학 이외의 사상: 양명학, 고증학, 서학

[1] 양명학(陽明學) 양명(陽明)은 명나라 왕수인(王守仁)의 호. 왕수인이 체계화한 학문.1518년 출간된 『전습록(傳習錄)』은 양명학의 교과서. 선조가 양명학에 관심을 가졌음.하지만 퇴계 이황, 서애 유성룡은 비판함. *. 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점 -. 주자학: 성즉리(性卽理). 이와 기를 분리. "격물치지"를 중요시."먼저 알고 행한다" -. 양명학: 심즉리(心卽理). 마음이 곧 이치."알고 행동하는 것은 하나다" 이황의 양명학 비판:양명학은 선(禪)에 빠졌다.지행 합일설을 비판함.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행동은 배우지 않고 행할 수 없다.왕수인을 미친 사람으로 평가절하. 유성룡의 양명학 비판:양명학은 불교의 얼굴만 바꾼 것. 사악한 설. ↔ 양명학의 선구자 정제두(1649~1736)는 양명학을 배척하..

한국사 2018.03.08

[한국근대사상] 한국 성리학의 특징, 근대사상의 시대적 배경

한국 성리학의 특징 ① 정주학(程朱學 중심.조선시대 성리학은 정이천(程伊川)과 주자가 중심이 된 학문.도덕 형이상학적. ② 주지주의(主知主義)적 경향. 어떤 틀에서 떠나면 안됨.↔ 양명학은 주정(主情)적 성격 ③ 예(禮)를 중시하는 풍토. ④ 명분론적인 사고 ⑤ 인존(人尊) 정신 ⑥ 보수적 특성. 경험적 사상을 소홀히 하였음. 근대화 여명기의 상황 ① 학문적 변화: 성리학에 대한 비판과 성토가 이어짐.(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위기 대처 능력이 없음.주자학을 비판하면 사문난적으로 몰림."어떻게 하면 공자의 가르침을 얻을 수 있을까?" "주자의 풀이는 과연 맞을까?"서인정권 하에서 주자사상이 극대화됨. 남인계통 학자들은 주자 비판.성호학파: 근기(近畿)지역에 성호학파 학자들 많음. 이들은 주자학을 ..

한국사 20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