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가치와 삶/대륙

칸트 미학에서 반성적 판단력과 미적 판단력의 관계

DDTKk 2016. 10. 12. 16:39
반응형

칸트 철학에서 판단: "S는 P다"

-. 사실판단: 객관적 진리를 요구

-. 미적판단: 주관적 보편성에 의한 진리 요구

 

칸트는 감성과 이성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인간의 이성을,

-. 감성에 연루된 이성(오성)

-. 감성을 초월하는 이성(이성)

으로 구분함

 

-. 오성: 감성을 통해 자연과 관계하며 또한 자연을 과학적으로 개념화 하는 방법

-. 이성: 인간 존재의 이념을 궁극적 자유로서 파악하는 능력

→ 자연개념과 자유개념을 구분함

 

반성적 판단력: 자연개념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로 하여금 자유를 표상하게 하는 능력.

미적 판단력은 그 대표적 전형.

→ 자연 일반에 대한 자유개념의 실현가능성 제시의 필요성. 이럴 때 이성과 오성의 분리도 그 본연의 의미가 밝혀짐.

따라서 미적 판단력을 소유하지 못한 자는 주어진 개념의 틀을 벗어나 그 확장을 기하는 반성적 능력이 결여된 자.

 

우리의 판단력은

-. 규정적 판단력(대상을 규정하는 활동),

-. 반성적 판단력(그 규정을 지양하는 활동)

을 함께 포함하는 역동적 활동.

_ 자신이 규정한 자연개념들의 한계를 넘어 한층 고차원적인 보편자를 찾는 반성적 판단력을 구비한 인간.

 

판단력 일반은 상상력과 오성의 유희에 기초하지만,

미적 판단력은 상상력과 오성의 자유로운 유희에 기초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