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가치와 삶/영미분석

예술철학(philosophy of art)/예술학(science of art)

DDTKk 2012. 3. 13. 15:59
반응형
예술철학

*. 예술철학은 미학보다 좁은 영역을 다룸.
헤겔이 자연미와 예술미를 구분하고 후자를 자신의 연구 영역으로 삼았듯이 예술철학에서 자연에 관계된 미적 경험들은 배제된다. 즉 예술철학은 예술작품과 연관해서 제기되는 문제들만 탐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cf. 미학에서 제기되는 질문들과 예술철학에서 제기되는 질문들이 서로 완전히 다른 것은 아니다.
예) 예술적 표현이란 무엇인가? 예술작품 안에 진리가 존재하는가? 예술적 상징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인 예술의 정의는 존재하는가?

*. 대체로 '~의 철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1) 그러한 과목에 구사된 개념들을 자세히 분석하려고 하며,
2) 그러한 분석들에 의해 그 과목에서 사용된 혹은 그 과목에 관한 일반적인 언명들의 진위들을 결정하려고 함.
-. 예술철학은 예술에 대한 담론들에서 사용되는 개념들, 예를 들어 형식, 표현, 의미, 상징, 재현 따위를 분명히 하고, "예술들은 표현이다" 혹은 "예술들은 상징이다"라든지 하는 언명들을 이러한 개념정리에 비추어 시험하고자 한다.
-. 그런데 예술철학자들에 의해 도달된 결론들은 매우 일반적이다. 예술철학에서 도달된 결론은 특정한 예술작품에 적용될 수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결론들은 일차적으로 특정한 예술작품에 관한 것이 아니다(특정한 그림들을 아름답다고 보는지의 여부는 미술 비평가들이 결정해야 할 일이다).

예술학

*. 예술학은 19세기에 종전의 미학이나 예술철학에 대한 불만에서 예술연구의 새로운 분과를 독립시키려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 데스와르와 우티츠는 미와 예술이 그 범위에 있어서 서로 다름을 강조하고, 미를 대상으로 하는 미학에 대하여 예술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학을 병립시키고자 했다. 예술철학자와는 달리 예술학자들은 예술의 객관적 존재를 주된 대상으로 삼는다.

*. 예술학적 연구는 때로 미학 쪽으로부터 객관주의라 불리우기도 한다.
-. 랑게는 연구대상에서 미를 배제하지는 않았지만, 가상이론에 입각하여 예술미만을 본래적인 미로 인정하고 그것을 연구할 예술이론과는 별도의 미학이 존립할 필요성을 인정하지는 않았다.

*. 예술은 미적 기술이기 때문에, 예술학은 미학에 의존하면서 동시에 기술학 혹은 기술철학과 관계된다. 이 때 '기술'이란 현대적 의미의 기술이 아니라, 그리스 시대의 테크네 개념과 유사하다.

*. 미학(혹은 예술철학)이 철학적 방법론을 취하는 반면, 예술학은 과학적 방법론을 채용한다. 그로세 방면의 예술학에서는 예술에 대한 철학적 연구를 배제하고, 예술을 구체적·역사적 사실을 통해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근본 방침으로 삼고 있다.

*. 그러나 실제 연구에서 예술철학과 예술학을 엄밀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 예술학은 단순히 과학적 방법에 의한 연구에 머물러 있을 수는 없다. 예술이란 하나의 정신적 존재로서 예술적 내지 미적 가치를 떠나서 생각될 수 없기 때문에, 그 본질을 규명하려는 요구가 개개의 재료, 사실, 현상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충족될 수 없고, 필연적으로 보다 높은 총괄적 입장에서 원리론적·가치론적 고찰을 지향하지 않을 수 없다.
-. 다만 미학이 보다 직접적으로 철학에 의지하면서 철학 자체의 한 분과를 이룸에 반해, 예술학은 그 기초인 미학을 통하여 철학에 연계되고 정신과학 또는 문화과학의 한 분과로서 그 위치를 부여받는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김문환, 『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