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근대사상] 성리학 이외의 사상: 양명학, 고증학, 서학

DDTKk 2018. 3. 8. 01:25
반응형

[1] 양명학(陽明學)


양명(陽明)은 명나라 왕수인(王守仁)의 호. 왕수인이 체계화한 학문.

1518년 출간된 『전습록(傳習錄)』은 양명학의 교과서.


선조가 양명학에 관심을 가졌음.

하지만 퇴계 이황, 서애 유성룡은 비판함.


*. 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점


-. 주자학: 성즉리(性卽理). 이와 기를 분리. "격물치지"를 중요시.

"먼저 알고 행한다"


-. 양명학: 심즉리(心卽理). 마음이 곧 이치.

"알고 행동하는 것은 하나다"


이황의 양명학 비판:

양명학은 선(禪)에 빠졌다.

지행 합일설을 비판함.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행동은 배우지 않고 행할 수 없다.

왕수인을 미친 사람으로 평가절하.


유성룡의 양명학 비판:

양명학은 불교의 얼굴만 바꾼 것. 사악한 설.


↔ 양명학의 선구자 정제두(1649~1736)는 양명학을 배척하지 않음. "양명학도 유학"

강화학파는 강화도에서 양명학(과 다른 학문들)을 강의함.



[2] 고증학(考證學)


청나라 시대에 유행했던 유학.


고증학의 배경: 성리학이나 양명학이나 공리공론이며 유교의 본래 사명에서 이탈함. 성리학과 양명학에 대한 반동으로 고증학 탄생.


고증학의 내용: 경학(經學), 역사를 사실적으로 고증 및 연구

주자학자들은 주자에 대한 비판을 삼갔음.

하지만 고증학자들은 훈고학적 접근을 통해 주자 해석의 오류를 드러낼 수 있다고 보았음.

"학문은 실증과 고증을 거쳐야 한다"


조선의 고증학은 17세기경(명·청 교체기) 유입되었음(→실학 발전에 영향)

북경에 간 사신들을 통해 들어옴.

안정복의 『동사강목』 _ 여러 문헌들을 갖다놓고 고증함.



[3] 서학(西學)


*. 1) 천주교의 평등 사상으로서의 서학과 2) 과학 기술로서의 서학을 구분할 필요.


전래:


이수광의 『지봉유설』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가 언급되었음.

선교사들은 기독교 전파를 위해 과학 기술품들을 들고 왔음.

실학 사상가들은 천주교를 접함. 배척도 하고 수용도 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