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 2

[한국근대사상] 실학이란 무엇인가?

實學을 정의하기?실(實)이 무엇인가? 허(許)와 대립됨.실학은 특정 학문이 아니라 實한 학문을 통칭함. 실학은 근대에 나타난 것이 아님. 고려시대에도 있었음.고려시대 초기에는 성리학이 실학이었고, 조선 초기에는 경학을 실학이라고 불렀음.조선시대 유학자들은 "공맹(孔孟)의 가르침을 익혀 충실히 실행하는 것"을 실학으로 간주했음.유학자들은 불교와 도교를 현세의 학문이 아니며 虛한 것이라 주장함. 당대인이라도 신분, 직책, 학문성에 따라 실학의 의미가 다름.피지배계층의 실학과 지배계층의 실학.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실학은 17~18세기의 실학.17~18세기 실학의 성격: 경세치용經世致用 / 이용후생利用厚生 / 실사구시實事求是)양난 이후 성리학의 한계를 의식하고 역동적인 사회로 나가기 위한 새로운 학문이 등장함...

한국사 2018.04.04

[한국근대사상] 한국 성리학의 특징, 근대사상의 시대적 배경

한국 성리학의 특징 ① 정주학(程朱學 중심.조선시대 성리학은 정이천(程伊川)과 주자가 중심이 된 학문.도덕 형이상학적. ② 주지주의(主知主義)적 경향. 어떤 틀에서 떠나면 안됨.↔ 양명학은 주정(主情)적 성격 ③ 예(禮)를 중시하는 풍토. ④ 명분론적인 사고 ⑤ 인존(人尊) 정신 ⑥ 보수적 특성. 경험적 사상을 소홀히 하였음. 근대화 여명기의 상황 ① 학문적 변화: 성리학에 대한 비판과 성토가 이어짐.(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위기 대처 능력이 없음.주자학을 비판하면 사문난적으로 몰림."어떻게 하면 공자의 가르침을 얻을 수 있을까?" "주자의 풀이는 과연 맞을까?"서인정권 하에서 주자사상이 극대화됨. 남인계통 학자들은 주자 비판.성호학파: 근기(近畿)지역에 성호학파 학자들 많음. 이들은 주자학을 ..

한국사 20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