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가치와 삶/史 3

근대적 Fine Arts 체제의 성립과정

*. 미술이 시와 음악과 함께 동류의 지위를 얻게 된 까닭은 이 모든 활동들이 다같이 미를 추구하는 것이라는 공통적인 요소 때문. 근대적 예술 체제의 성립은 회화가 시 못지 않은 의미와 자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는 끈질긴 주장을 통해서임. ※ 고대 그리스인들은 신체를 사용하는가, 정신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 Liberal Arts(음악, 시) - Vulgar Arts(회화) 를 구분하였음. *. 그림이 단순한 모방, 곧 이미지의 제작이 아니라, 이념이나 그와 비슷한 존재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키는 과정에서 "Fine Arts"의 개념이 탄생. 이 과정에서, 1) 플라톤의 형이상학적 이념의 철학 2) 회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수정 되는 과정이 필요. *. 르네상스 시대에 시의 활동과 회화의 ..

서구 미학에서 미의 기본 관념의 전개과정

[서구 고대의 미론] *. kalos: 고대 그리스인이 사용했던 美라는 낱말. 이는 인간 신체와 그 부분, 도덕적 행위, 법률과 도덕, 가축이나 도구 등 매우 포괄적이고 다의적으로 사용됨. *. kalom: '아름답다'는 뜻.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아름답다'라는 말보다 범위가 넓게 사용되었음. 성격과 행동, 윤리적 가치의 아름다움도 내포함. 예컨대 음악에서는 적절한 비율, 건축에서는 대칭, 정치에서는 어떠한 행위와 의도를 아름답다고 칭했음 플라톤 *. 플라톤 이전의 전통적 미 개념 -. 피타고라스_질서·비례·조화로서의 미 개념 -. 소피스트_주관적 쾌로서의 미 개념 -. 소크라테스_도덕적 미 개념 *. 플라톤은 전통적 미 개념을 비판하고 그것을 철저하게 존재론적으로 재정립. → 미의 이데아를 나누어 ..

시에 관한 논의에 있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차이

플라톤 플라톤은『국가』편에서 시인을 '이야기를 만드는 자'로 규정함. A. 시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 1) 시인들이 하는 말은 전문적 앎을 가진 학자나 제작자의 것이 아니다. 「이온」편 시인이나 그것을 암송하는 음유시인들은 자신이 그리는 내용들에 대해 전문가라고 주장할 수 없다. 2) 시는 자력과 같은 전파력을 가지고 연쇄적으로 사람을 사로잡는 성격의 것으로서, 인간의 이성 능력이 아닌 감정과 정서적 부분에 작용한다. 「파이드로스」편 시인은 신지핌의 상태, 즉 자신을 벗어난 광란 상태에서 시를 쓴다. B. 교육적인 의미에서의 시 한편 플라톤은 시가 인간 교육, 인격 형성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심대하다고 밝힘. 『국가』2, 3권에서 시인에게 내용과 형식에 있어 무엇을 쓰고 무엇을 쓰지 말아야 할 것인지, 그리..